크로스 플랫폼 개발의 핵심, React Native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오랜 시간 동안 고유의 플랫폼 생태계를 중심으로 발전해왔습니다. iOS는 Swift/Objective-C를, Android는 Kotlin/Java를 주력 언어로 사용하며 각 플랫폼에 최적화된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네이티브 개발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죠.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필연적으로 두 개의 상이한 코드베이스를 관리해야 하는 복잡성과 비용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동일한 기능을 iOS와 Android에 구현하기 위해 두 배의 개발 리소스와 시간을 투자해야 했고, 이는 특히 스타트업이나 제한된 자원을 가진 팀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크로스 플랫폼 개발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다양한 시도들이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Meta(구 Facebook)에 의해 탄생한 React Native는 웹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JavaScript와 React 패러다임을 활용하여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과 경험을 제공하며 빠르게 모바일 개발 생태계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Learn once, write anywhere"라는 슬로건처럼, 한 번 학습한 React/JavaScript 지식을 바탕으로 iOS와 Android 앱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다는 강력한 이점은 많은 개발팀의 선택을 이끌어냈습니다.
React Native 개발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것은 웹 개발과는 다른 고유의 개념과 컴포넌트들입니다. 웹 개발 경험이 있더라도, React Native는 HTML 엘리먼트 대신 네이티브 UI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CSS 대신 JavaScript로 스타일을 정의하며, 브라우저 API 대신 디바이스 API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React Native의 핵심 구성 요소들을 제대로 익히는 것이 성공적인 앱 개발의 첫걸음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React Native 개발의 기초를 다지는 데 필수적인 5가지 핵심 요소를 심층적으로 다룰 것입니다. React Native의 근본 원리부터 시작하여, UI를 선언적으로 구축하는 JSX와 컴포넌트, 앱의 동적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useState, useEffect), 그리고 실제 화면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기본 컴포넌트들(View, Text, Image, ScrollView, FlatList)까지, 각 요소의 개념 설명은 물론 실무 예제와 함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통해 React Native 개발의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고, 더 나아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개발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시길 바랍니다.
React Native 핵심 5가지 완전 정복 심층 분석
React Native 개발의 근간을 이루는 5가지 핵심 요소를 하나씩 깊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각 요소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고, 실제 개발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실무적인 팁과 코드 예제를 함께 제시하여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도울 것입니다.
1. React Native 기본 개념 이해
React Native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라면, 이것이 단순히 모바일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WebView 기반의 프레임워크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React Native는 JavaScript 코드를 작성하여 iOS 및 Android의 네이티브 UI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고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웹 개발의 React에서 사용하는 가상 DOM을 사용하는 대신, React Native는 자체적으로 네이티브 뷰 계층 구조와 직접 통신합니다.
핵심은 바로 "JavaScript Bridge"입니다. JavaScript 코드가 실행되는 스레드(JS Thread)와 네이티브 UI가 렌더링되는 스레드(UI Thread), 그리고 네이티브 모듈이 실행되는 스레드(Native Modules Thread)가 분리되어 있으며, 이 스레드 간의 비동기 통신을 담당하는 것이 브릿지입니다. 예를 들어, JavaScript 코드에서 Alert.alert()
함수를 호출하면, 이 명령이 브릿지를 통해 네이티브 스레드로 전달되고, 네이티브 코드에서 실제 디바이스의 알림 창을 띄우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JavaScript 코드의 연산이 복잡하더라도 UI 스레드를 직접적으로 블록하지 않아 부드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물론, 브릿지를 통한 데이터 직렬화/역직렬화 오버헤드가 존재하므로, 대량의 데이터를 자주 통신하거나 매우 빈번한 이벤트 처리가 필요한 경우 성능 병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React Native는 개발을 시작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환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Expo CLI: 설정이 매우 간편하며, 많은 네이티브 기능(카메라, 센서 등)이 미리 번들링되어 있어 별도의 네이티브 코드 설정 없이 빠르게 개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Expo Go 앱을 통해 물리적인 디바이스에서 실시간으로 앱을 테스트하기 용이합니다. 대부분의 기본적인 앱 개발에는 Expo가 좋은 시작점입니다. 하지만 네이티브 코드 레벨에서의 세밀한 제어가 필요하거나, Expo에서 지원하지 않는 특정 네이티브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React Native CLI: 네이티브 프로젝트를 직접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iOS 및 Android 네이티브 코드(Xcode, Android Studio)에 직접 접근하여 커스터마이징하거나, 서드파티 네이티브 라이브러리를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Expo보다 설정 과정이 복잡하고 네이티브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지만, 기능 확장에 대한 유연성이 가장 높습니다.
React Native의 가장 큰 장점은 역시 코드 재사용성입니다. 웹 개발에서 익숙한 React 문법과 JavaScript 언어를 사용하여 iOS와 Android 앱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은 개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Hot Reloading 및 Fast Refresh 기능은 코드 변경 시 앱을 완전히 다시 빌드할 필요 없이 변경 사항을 즉시 반영하여 개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거대하고 활발한 개발 커뮤니티 역시 React Native의 큰 자산입니다. 다양한 라이브러리, 솔루션, 문제 해결 정보가 넘쳐나 개발 중 마주치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합니다. 특정 플랫폼의 최신 기능이나 아주 고성능의 그래픽/애니메이션이 필요한 경우, 네이티브 모듈을 직접 개발해야 하거나 성능 최적화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이티브 운영체제(iOS/Android) 및 React Native 프레임워크 자체의 업데이트에 따라 개발 환경 설정이나 라이브러리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잠재적 단점들을 인지하고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에 맞춰 React Native를 도입할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JSX와 컴포넌트: React Native UI 구축의 기본 블록
React Native는 웹 개발의 React와 마찬가지로 JSX(JavaScript XML) 문법을 사용하여 UI를 선언적으로(Declarative) 기술합니다. JSX는 JavaScript 코드 내부에 XML과 유사한 문법으로 UI 요소를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JavaScript의 확장 문법입니다. 이는 UI 구조를 코드 상에서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웹 개발에서 JSX는 <div>
, <span>
, <p>
와 같은 HTML 태그를 사용하지만, React Native에서는 View
, Text
, Image
등과 같은 네이티브 컴포넌트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각 플랫폼의 실제 네이티브 UI 요소(iOS의 UIView
, UITextView
, Android의 android.view.View
, TextView
등)와 매핑되어 렌더링됩니다. 따라서 React Native 앱의 UI는 웹 브라우저의 DOM이 아닌, 디바이스의 네이티브 뷰 계층 구조로 구성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App = () =>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Text style={styles.title}>React Native 핵심 정복</Text>
<Text>JSX와 컴포넌트는 UI의 기본입니다.</Text>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backgroundColor: '#f0f0f0',
},
title: {
fontSize: 24,
fontWeight: 'bold',
marginBottom: 10,
color: '#333',
},
});
export default App;
위 코드에서 <View>
, <Text>
는 React Native에서 제공하는 기본 컴포넌트이며, {styles.container}
와 같이 style
prop을 통해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JSX 내에서는 JavaScript 표현식을 {}
중괄호 안에 넣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변수나 함수 호출 결과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React 개발의 핵심 철학은 UI를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단위인 컴포넌트(Component)로 분해하는 것입니다. 각 컴포넌트는 자체적으로 상태(State)를 관리하고,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속성(Props)을 전달받아 UI를 렌더링합니다. 현대적인 React Native 개발에서는 주로 함수형 컴포넌트(Functional Component)와 Hooks를 사용합니다.
Props (속성):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메커니즘입니다.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 props를 사용하며, 자식 컴포넌트는 전달받은 props를 읽기만 할 수 있습니다 (불변성).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Greeting = (props) => {
return (
<Text style={styles.greeting}>안녕하세요, {props.name}!</Text>
);
};
const App = () =>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Greeting name="React Native 사용자" />
<Greeting name="개발자님" />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greeting: {
fontSize: 18,
marginVertical: 5,
},
});
export default App;
위 예제에서 App
컴포넌트는 Greeting
컴포넌트에 name
이라는 prop을 전달하고, Greeting
컴포넌트는 이 name
prop을 받아 텍스트를 표시합니다.
Styling: React Native에서 스타일링은 웹의 CSS와 유사하지만, 문법과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주로 JavaScript 객체 리터럴 형태로 스타일을 정의하며, StyleSheet.create()
를 사용하여 스타일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스타일 객체를 한 번만 생성하고 네이티브 코드로 직렬화하여 효율성을 높여줍니다. 스타일 속성 이름은 CSS와 유사하지만, 케밥 케이스(kebab-case) 대신 카멜 케이스(camelCase)를 사용합니다 (예: background-color
대신 backgroundColor
). 또한, 모든 요소가 Flexbox 레이아웃 모델을 기본으로 사용하여 UI 배치를 처리합니다.
// StyleSheet 예제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button: {
backgroundColor: 'blue',
padding: 10,
borderRadius: 5,
},
buttonText: {
color: 'white',
fontSize: 16,
},
});
// 컴포넌트에 적용
<View style={styles.button}>
<Text style={styles.buttonText}>버튼</Text>
</View>
// 인라인 스타일 예제 (간단한 경우 사용)
<Text style={{ color: 'red', fontWeight: 'bold' }}>주의!</Text>
StyleSheet.create()
를 사용하면 스타일 정의 시 유효성 검사 등의 이점도 얻을 수 있습니다. 복잡한 스타일은 StyleSheet
로 정의하고, 간단한 동적 스타일은 인라인으로 적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JSX와 컴포넌트, 그리고 스타일링은 React Native UI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능숙하게 다루는 것은 어떤 React Native 앱을 개발하든 필수적인 역량입니다. UI를 컴포넌트 단위로 잘게 나누고 각 컴포넌트의 역할과 props, 상태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은 유지보수하기 쉽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는 데 중요합니다.
3. 상태 관리: 앱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기술 (useState, useEffect)
정적인 UI만으로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동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없습니다. 앱의 상태(State)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 상태의 변화에 따라 UI가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React Native(및 React)에서 상태 관리는 앱 개발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함수형 컴포넌트 시대에 상태 관리를 담당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는 바로 Hooks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useState
와 useEffect
Hook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useState:
useState
Hook은 함수형 컴포넌트 내에서 로컬 상태 변수를 선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클래스 컴포넌트의 this.state
와 this.setState
역할을 대체합니다.
- 목적: 컴포넌트 내부에서 관리되는 동적인 데이터 (예: 버튼 클릭 횟수, 입력 필드의 텍스트, 토글 상태 등)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합니다.
- 사용법: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Value);
형태로 사용합니다.state
: 현재 상태 값을 저장하는 변수입니다.setState
: 상태 값을 업데이트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호출하면 React Native는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합니다.initialValue
: 상태의 초기 값입니다. 함수를 전달하여 초기 값을 지연 계산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 작동 방식:
setState
함수를 호출할 때, React Native는 새로운 상태 값을 받아 컴포넌트의 렌더링을 다시 트리거합니다. 중요한 점은setState
는 상태를 교체하는 방식이며, 이전 상태와 새로운 상태가 다를 경우에만 렌더링이 발생합니다. 상태 업데이트는 비동기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여러 번의setState
호출이 하나의 렌더링 사이클로 묶일 수도 있습니다. 이전 상태 값을 기반으로 업데이트할 때는 함수형 업데이트 (setState(prevState => prevState + 1)
)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불변성: React Native에서 상태를 업데이트할 때는 항상 새로운 객체나 배열을 생성하여 상태를 변경하는 불변성(Immutability)을 유지해야 합니다. 기존 상태 객체나 배열을 직접 수정하면 React Native가 상태 변경을 감지하지 못해 UI 업데이트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useState 예제 (간단한 카운터):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Button,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Counter = () => {
// 'count'라는 상태 변수와 'setCount'라는 업데이트 함수를 선언, 초기값은 0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const increment = () => {
// 함수형 업데이트: 이전 상태(prevCount)를 기반으로 새로운 상태 계산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
};
const decrement = () => {
// 함수형 업데이트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Text style={styles.countText}>현재 카운트: {count}</Text>
<View style={styles.buttonContainer}>
<Button title="+ 증가" onPress={increment} />
<Button title="- 감소" onPress={decrement} color="red" />
</View>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countText: {
fontSize: 24,
marginBottom: 20,
},
buttonContainer: {
flexDirection: 'row',
width: '60%',
justifyContent: 'space-around',
}
});
export default Counter;
이 예제에서 count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setCount
가 호출되고, 이로 인해 Counter
컴포넌트가 다시 렌더링되며 화면의 count
텍스트가 업데이트됩니다.
useEffect:
useEffect
Hook은 함수형 컴포넌트 내에서 부수 효과(Side Effects)를 처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부수 효과란 React의 일반적인 데이터 흐름(props와 state를 기반으로 UI를 렌더링하는 것) 외의 작업을 의미하며, 데이터 가져오기(fetching), 구독 설정/해제, 수동적인 DOM 조작(React Native에서는 네이티브 뷰 조작), 타이머 설정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 목적: 컴포넌트가 렌더링된 이후에 수행해야 하는 비동기 작업이나 외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등을 처리합니다.
- 사용법:
useEffect(() => { /* 부수 효과 로직 */ }, [dependencies]);
형태로 사용합니다.- 첫 번째 인자: 부수 효과를 담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된 이후에 실행됩니다. 클린업(Cleanup) 함수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인자: 의존성 배열(Dependencies Array)입니다. 배열 안에 있는 값이 변경될 때만 부수 효과 함수가 다시 실행됩니다.
- 배열이 없는 경우: 렌더링될 때마다 실행됩니다. (권장되지 않음)
- 빈 배열 (
[]
):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mount)될 때 한 번만 실행되고, 언마운트(unmount)될 때 클린업 함수가 실행됩니다. (componentDidMount, componentWillUnmount 역할) - 값들이 있는 배열 (
[propA, stateB]
): 컴포넌트 마운트 시 실행되고, 배열 안의propA
나stateB
값이 변경될 때마다 다시 실행됩니다.
- 클린업 함수:
useEffect
함수가 클린업 함수를 반환하면, 이 함수는 다음 부수 효과 실행 전에(의존성 배열이 변경되었을 때) 또는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될 때 실행됩니다. 구독 해제, 타이머 정리 등의 리소스 정리 작업에 유용합니다.
useEffect 예제 (데이터 가져오기 및 타이머 설정):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ActivityIndicator,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DataFetcher = () =>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null);
const [loading, setLoading] = useState(true);
const [seconds, setSeconds] = useState(0);
// 데이터 가져오기 (마운트 시 한 번만 실행)
useEffect(() => {
console.log('데이터 fetching 시작');
// 실제 API 호출 로직 (예: fetch, axios 사용)
// 여기서는 setTimeout으로 시뮬레이션
const timer = setTimeout(() => {
const fetchedData =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입니다.";
setData(fetchedData);
setLoading(false);
console.log('데이터 fetching 완료');
}, 2000); // 2초 후 데이터 로드
// 클린업 함수: 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실행 (타이머 해제 등)
return () => {
console.log('데이터 fetching useEffect 클린업');
clearTimeout(timer); // 불필요한 타이머 해제
};
}, []); // 빈 배열: 마운트 시 한 번만 실행
// 타이머 설정 (매 초마다 실행)
useEffect(() => {
console.log('타이머 설정');
const intervalId = setInterval(() => {
setSeconds(prevSeconds => prevSeconds + 1);
}, 1000);
// 클린업 함수: 다음 setInterval 실행 전 또는 언마운트 시 실행
return () => {
console.log('타이머 useEffect 클린업');
clearInterval(intervalId); // 인터벌 해제
};
}, []); // 빈 배열: 마운트 시 한 번만 설정/해제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Text style={styles.timerText}>앱 실행 후 {seconds}초 경과</Text>
{loading ? (
<ActivityIndicator size="large" color="#0000ff" />
) : (
<Text style={styles.dataText}>{data}</Text>
)}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timerText: {
fontSize: 18,
marginBottom: 10,
},
dataText: {
fontSize: 16,
color: 'green',
}
});
export default DataFetcher;
이 예제에서는 두 개의 useEffect
를 사용했습니다. 첫 번째 useEffect
는 컴포넌트가 처음 화면에 나타날 때(마운트될 때) 데이터를 가져오는 시뮬레이션을 하고, 두 번째 useEffect
는 매 초마다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타이머를 설정합니다. 각각의 useEffect
에서 반환되는 클린업 함수는 컴포넌트가 사라지거나(언마운트) 의존성이 변경되기 전에 리소스를 정리하여 메모리 누수 등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useState
와 useEffect
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로컬 상태 관리 및 부수 효과 처리를 위한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두 Hook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복잡한 UI 상태 변화와 비동기 로직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데 필수적입니다. 더 나아가 앱의 규모가 커지고 여러 컴포넌트 간에 상태를 공유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면, Context API, Redux, MobX, Zustand 등과 같은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고려하게 됩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상태 관리는 useState
와 useEffect
로 시작하고, 필요에 따라 더 강력한 도구를 도입하는 것이 좋은 전략입니다.
4. React Native의 주요 기본 컴포넌트 깊이 살펴보기
React Native 앱의 화면은 네이티브 UI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React Native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빌트인(built-in) 컴포넌트들은 각 플랫폼의 기본 UI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개발자는 JavaScript 코드로 네이티브 UI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React Native 개발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핵심 기본 컴포넌트 5가지(View
, Text
, Image
, ScrollView
, FlatList
)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가. <View>
: UI 컨테이너 및 레이아웃 기본 단위
<View>
는 React Native에서 가장 기본적인 UI 요소이자 핵심입니다. 웹의 div
와 유사하게 동작하지만, 그 역할은 단순히 사각형 영역을 나타내는 것 이상입니다. <View>
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담는 컨테이너 역할을 하며, Flexbox 레이아웃 모델을 사용하여 자식 컴포넌트들의 위치와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든 레이아웃은 <View>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역할:
- UI 영역을 그룹화하고 분리합니다.
- Flexbox를 이용한 레이아웃을 정의합니다.
- 스타일 속성(margin, padding, border, background 등)을 적용하여 시각적인 표현을 제어합니다.
onPress
와 같은 터치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한 요소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Button
이나TouchableOpacity
와 같은 전용 컴포넌트 사용이 더 일반적입니다).
- 주요 스타일 속성:
flex
,flexDirection
,justifyContent
,alignItems
(Flexbox 관련),width
,height
,margin
,padding
,borderWidth
,borderColor
,backgroundColor
,borderRadius
,shadow
(iOS),elevation
(Android) 등. - 특징:
<View>
는 직접적으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 텍스트를 표시하려면 반드시<Text>
컴포넌트 내부에 넣어주어야 합니다.
<View>
예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ViewExample = () =>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 Flexbox 레이아웃 예제 */}
<View style={styles.boxContainer}>
<View style={styles.box1} />
<View style={styles.box2} />
<View style={styles.box3} />
</View>
{/* 스타일 적용 예제 */}
<View style={styles.styledView}>
<Text style={styles.styledText}>스타일이 적용된 View</Text>
</View>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 부모 View가 전체 공간을 차지
padding: 20,
},
boxContainer: {
flexDirection: 'row', // 자식 View들을 가로로 배치
justifyContent: 'space-around', // 자식들 주변에 균등한 공간 분배
alignItems: 'center', // 자식들을 세로축 중앙 정렬
height: 100,
backgroundColor: '#eee',
marginBottom: 20,
},
box1: {
width: 50,
height: 50,
backgroundColor: 'red',
},
box2: {
width: 50,
height: 50,
backgroundColor: 'green',
},
box3: {
width: 50,
height: 50,
backgroundColor: 'blue',
},
styledView: {
backgroundColor: '#abcdef',
padding: 15,
borderRadius: 10,
borderWidth: 1,
borderColor: '#333',
alignItems: 'center', // 텍스트 중앙 정렬
},
styledText: {
fontSize: 16,
color: '#333',
}
});
export default ViewExample;
<View>
는 React Native UI의 가장 기본이 되는 벽돌과 같습니다. 모든 화면은 다양한 <View>
컴포넌트의 중첩과 Flexbox 속성을 활용한 레이아웃 정의로 시작됩니다.
나. <Text>
: 텍스트 표시
<Text>
는 화면에 텍스트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컴포넌트입니다. 웹의 p
, span
, h1
등의 모든 텍스트 관련 태그의 역할을 포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React Native에서는 UI에 텍스트를 표시하려면 반드시 이 <Text>
컴포넌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View>
와 달리 <Text>
컴포넌트는 자체적으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Text>
컴포넌트 내부에 다른 <Text>
컴포넌트를 중첩하여 부분적으로 스타일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역할: 화면에 텍스트 콘텐츠를 렌더링합니다.
- 주요 스타일 속성:
fontSize
,color
,fontWeight
,textAlign
,fontStyle
,textDecorationLine
,lineHeight
,numberOfLines
등. - 특징:
<Text>
컴포넌트만이 자식으로 텍스트 문자열이나 다른<Text>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습니다.<View>
와 같은 다른 컴포넌트를 직접 자식으로 가질 수 없습니다 (단,<Text>
내에서View
를 렌더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 반대, 즉View
안에Text
를 넣는 것은 가능하고 일반적입니다).
<Text>
예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TextExample = () =>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Text style={styles.basicText}>안녕하세요, React Native!</Text>
{/* 중첩된 Text를 이용한 스타일 적용 */}
<Text style={styles.compoundText}>
이 문장은{' '}
<Text style={styles.boldText}>부분적으로 굵게</Text>{' '}
표시되었습니다.
</Text>
{/* 여러 줄 텍스트와 줄임표 */}
<Text style={styles.longText} numberOfLines={2} ellipsizeMode="tail">
이것은 매우 긴 텍스트로, 화면에 모두 표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두 줄까지만 표시하고 나머지는 ...으로 줄일 것입니다.
</Text>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padding: 20,
},
basicText: {
fontSize: 18,
color: '#333',
marginBottom: 10,
},
compoundText: {
fontSize: 16,
color: '#555',
marginBottom: 10,
},
boldText: {
fontWeight: 'bold', // 중첩된 Text에만 굵은 스타일 적용
color: 'blue', // 중첩된 Text에만 파란색 적용
},
longText: {
fontSize: 14,
color: '#777',
lineHeight: 20, // 줄 간격 설정
}
});
export default TextExample;
<Text>
컴포넌트는 앱 내의 모든 텍스트 콘텐츠를 다루는 데 필수적입니다. <Text>
내 <Text>
중첩 기능을 활용하면 문장 내 특정 단어에만 스타일을 적용하는 등 유연한 텍스트 표현이 가능합니다.
다. <Image>
: 이미지 표시
<Image>
는 앱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컴포넌트입니다. 로컬에 저장된 정적 이미지, 네트워크를 통해 가져오는 이미지, 또는 Base64 문자열로 인코딩된 이미지 등 다양한 소스의 이미지를 지원합니다.
- 역할: 이미지 파일을 로드하고 렌더링합니다.
- 주요 props:
source
: 이미지의 소스를 지정합니다.- 로컬 이미지:
require('../assets/logo.png')
- 네트워크 이미지:
{ uri: 'https://via.placeholder.com/150' }
- Base64 이미지:
{ uri: '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 }
- 로컬 이미지:
style
: 이미지의 크기(width
,height
)와 스타일을 정의합니다.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고유의 크기를 가지지 않으므로,style
에서 명시적으로 크기를 지정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resizeMode
: 이미지가 할당된 공간 내에서 어떻게 표시될지 결정합니다. (cover
,contain
,stretch
,repeat
,center
)
- 성능 고려사항: 네트워크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이미지 로딩 중 로딩 스피너를 보여주거나 캐싱 전략을 적용하는 등 성능을 고려한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큰 이미지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react-native-fast-image
와 같은 서드파티 라이브러리가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Image>
예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View, Image,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ImageExample = () => {
const localImage = require('../assets/logo.png'); // 실제 파일 경로로 변경 필요
const networkImage = { uri: 'https://reactnative.dev/img/tiny_logo.png'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Text style={styles.heading}>로컬 이미지</Text>
{/* 로컬 이미지는 require() 사용 */}
<Image
source={localImage}
style={styles.localImage}
resizeMode="contain"
/>
<Text style={styles.heading}>네트워크 이미지</Text>
{/* 네트워크 이미지는 { uri: '...' } 객체 사용, 크기 필수 */}
<Image
source={networkImage}
style={styles.networkImage}
resizeMode="cover"
/>
<Text style={styles.heading}>Resize Mode 예제 (stretch)</Text>
<Image
source={networkImage}
style={styles.stretchImage}
resizeMode="stretch" // 공간에 맞게 늘림
/>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padding: 20,
alignItems: 'center', // 자식들을 중앙 정렬
},
heading: {
fontSize: 18,
fontWeight: 'bold',
marginTop: 20,
marginBottom: 10,
},
localImage: {
width: 100,
height: 100,
// resizeMode: 'contain', // 또는 props로 설정
},
networkImage: {
width: 150,
height: 100,
// resizeMode: 'cover', // 또는 props로 설정
},
stretchImage: {
width: '80%', // 부모 너비의 80%
height: 80,
// resizeMode: 'stretch', // 또는 props로 설정
}
});
export default ImageExample;
이미지는 사용자 경험에 중요한 요소이며, 적절한 크기 지정과 resizeMode
활용은 UI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네트워크 이미지의 경우, 로딩 상태 처리와 캐싱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실무에서 중요합니다.
라. <ScrollView>
: 스크롤 가능한 콘텐츠
앱 화면의 크기는 제한적이지만, 표시해야 할 콘텐츠의 양이 화면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는 흔합니다. 이때 <ScrollView>
컴포넌트가 사용됩니다. <ScrollView>
는 내부에 담긴 콘텐츠가 컨테이너 크기보다 클 경우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모든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역할: 콘텐츠가 컨테이너보다 클 때 스크롤을 활성화합니다.
- 주요 props:
horizontal
:true
로 설정하면 가로 스크롤을 활성화합니다 (기본값: 세로 스크롤).showsVerticalScrollIndicator
: 세로 스크롤바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기본값:true
).showsHorizontalScrollIndicator
: 가로 스크롤바 표시 여부를 설정합니다 (기본값:true
).contentContainerStyle
: 스크롤 가능한 내부 콘텐츠 컨테이너에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 성능 고려사항:
<ScrollView>
는 내부에 있는 모든 자식 컴포넌트를 한 번에 렌더링합니다. 따라서 리스트의 아이템 수가 매우 많을 경우(수십 개 이상), 메모리 사용량과 초기 로딩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 섹션에서 설명할<FlatList>
또는<SectionList>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ScrollView>
예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ScrollView,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LongText = () => {
let text = '';
for (let i = 0; i < 50; i++) {
text += `이것은 스크롤될 콘텐츠 ${i + 1}번째 줄입니다.\n`;
}
return <Text style={styles.longContentText}>{text}</Text>;
};
const ScrollViewExample = () => {
return (
<ScrollView style={styles.scrollView} contentContainerStyle={styles.contentContainer}>
<Text style={styles.heading}>ScrollView 예제</Text>
<Text>아래 영역은 스크롤 가능합니다:</Text>
<LongText />
<Text>스크롤 끝.</Text>
</Scroll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scrollView: {
flex: 1, // ScrollView가 사용 가능한 모든 공간을 차지하도록 함
padding: 10,
},
contentContainer: {
// 콘텐츠가 너무 짧을 경우 ScrollView 높이에 맞추기 위해 필요할 수 있음
// alignItems: 'center',
},
heading: {
fontSize: 20,
fontWeight: 'bold',
marginBottom: 10,
},
longContentText: {
fontSize: 14,
color: '#555',
}
});
export default ScrollViewExample;
<ScrollView>
는 적은 수의 아이템이나 미리 정의된 고정된 콘텐츠를 스크롤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설정 페이지, 긴 약관 페이지 등에 적합합니다.
마. <FlatList>
: 대량의 데이터 리스트 렌더링
모바일 앱에서 가장 흔한 패턴 중 하나는 목록(List) 형태의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친구 목록, 상품 목록, 피드 목록 등 데이터의 양이 가변적이고 매우 많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ScrollView>
를 사용하면 성능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FlatList>
는 이러한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해 설계된 고성능 리스트 컴포넌트입니다.
- 역할: 대량의 데이터를 평평한(Flat) 목록 형태로 효율적으로 렌더링합니다. 화면에 보이는 아이템과 그 주변의 일부 아이템만 렌더링하고, 스크롤에 따라 동적으로 아이템을 언마운트/마운트하여 메모리 사용량과 렌더링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주요 props:
data
: 렌더링할 데이터 배열입니다.renderItem
: 각 데이터 항목을 어떻게 렌더링할지 정의하는 함수입니다. 인자로{ item, index, separators }
객체를 받으며, JSX 엘리먼트를 반환해야 합니다.item
은 데이터 배열의 각 항목입니다.keyExtractor
: 각 데이터 항목에 고유한 키를 부여하는 함수입니다. 성능 최적화를 위해 React Native가 변경된 항목을 식별하고 다시 렌더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 항목에id
속성이 있다면item => item.id.toString()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필수 prop입니다.ListHeaderComponent
: 목록 상단에 고정적으로 표시될 컴포넌트입니다.ListFooterComponent
: 목록 하단에 고정적으로 표시될 컴포넌트입니다.ItemSeparatorComponent
: 각 아이템 사이에 구분선을 렌더링하는 컴포넌트입니다.onEndReached
: 사용자가 목록의 끝에 도달했을 때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무한 스크롤 구현 등에 사용).onRefresh
,refreshing
: 풀-투-리프레시(Pull-to-Refresh) 기능을 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ScrollView>
와의 비교:<FlatList>
는 화면에 보이는 아이템만 렌더링하는 "가상화(Virtualization)" 또는 "윈도잉(Windowing)" 기법을 사용하여 메모리 사용량과 초기 렌더링 시간을 크게 줄입니다. 반면<ScrollView>
는 모든 콘텐츠를 한 번에 렌더링합니다. 따라서 목록 아이템 수가 많을 때는 반드시<FlatList>
(또는<SectionList>
for 섹션 목록)를 사용해야 합니다.
<FlatList>
예제: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FlatList, StyleSheet } from 'react-native';
const DATA = [
{ id: '1', title: '첫 번째 아이템' },
{ id: '2', title: '두 번째 아이템' },
{ id: '3', title: '세 번째 아이템' },
{ id: '4', title: '네 번째 아이템' },
{ id: '5', title: '다섯 번째 아이템' },
{ id: '6', title: '여섯 번째 아이템' },
{ id: '7', title: '일곱 번째 아이템' },
{ id: '8', title: '여덟 번째 아이템' },
{ id: '9', title: '아홉 번째 아이템' },
{ id: '10', title: '열 번째 아이템' },
// ... 실제 앱에서는 데이터가 훨씬 많을 수 있습니다.
];
const Item = ({ title }) => (
<View style={styles.item}>
<Text style={styles.itemTitle}>{title}</Text>
</View>
);
const FlatListExample = () =>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Text style={styles.heading}>FlatList 예제</Text>
<FlatList
data={DATA} // 렌더링할 데이터 배열
renderItem={({ item }) => <Item title={item.title} />} // 각 항목을 어떻게 그릴지 정의
keyExtractor={item => item.id} // 각 항목의 고유 키 설정 (성능 중요!)
ItemSeparatorComponent={() => <View style={styles.separator} />} // 아이템 구분선
/>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 1,
paddingTop: 22,
},
heading: {
fontSize: 20,
fontWeight: 'bold',
paddingHorizontal: 10,
marginBottom: 10,
},
item: {
backgroundColor: '#f9f9f9',
padding: 20,
},
itemTitle: {
fontSize: 16,
},
separator: {
height: 1,
backgroundColor: '#ccc',
marginHorizontal: 10, // 좌우 여백
}
});
export default FlatListExample;
FlatList
는 목록 기반의 UI를 구현할 때 React Native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컴포넌트 중 하나입니다. keyExtractor
를 제대로 설정하는 것은 성능 최적화에 매우 중요하며, 무한 스크롤이나 풀-투-리프레시와 같은 기능은 onEndReached
, onRefresh
prop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다섯 가지 기본 컴포넌트는 React Native 앱의 거의 모든 UI를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의 역할과 속성, 그리고 적절한 사용 시점을 이해하는 것은 효율적이고 성능 좋은 React Native 앱을 개발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역량입니다.
5. 실제 프로젝트 적용 및 고려사항
React Native 핵심 개념과 기본 컴포넌트, 상태 관리 기법을 익혔다면, 이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실무적인 내용들을 짚어보겠습니다.
가. 내비게이션(Navigation) 구조 설계:
대부분의 모바일 앱은 여러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면 간의 이동(내비게이션) 처리가 필수적입니다. React Native 생태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라이브러리는 React Navigation입니다. React Navigation은 스택 내비게이터(Stack Navigator), 탭 내비게이터(Tab Navigator), 드로어 내비게이터(Drawer Navigator) 등 다양한 내비게이션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각 플랫폼의 네이티브 내비게이션 방식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앱 개발 초기 단계에서 화면 구성 및 내비게이션 흐름을 명확히 설계하고 React Navigation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 API 연동 및 데이터 관리:
모바일 앱은 종종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전송합니다. React Native에서 API 호출은 웹 개발과 유사하게 fetch
API나 axios
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처리합니다. 비동기 작업인 API 호출은 useEffect
Hook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져온 데이터는 useState
로 관리하거나, 앱 전체에서 필요한 데이터의 경우 Context API, Redux, Zustand 등의 전역 상태 관리 솔루션을 활용하여 관리합니다. API 응답 데이터의 로딩 상태, 에러 처리 등을 고려한 견고한 데이터 fetch 로직 구현이 필요합니다.
다. 성능 최적화:
React Native는 네이티브에 가까운 성능을 제공하지만, JavaScript 코드로 네이티브를 제어하는 방식 특성상 성능 병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브릿지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복잡한 계산이 JS 스레드에서 이루어지거나, 불필요한 컴포넌트 리렌더링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성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를 위한 일반적인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FlatList
를 사용하여 대량의 목록 데이터 렌더링 최적화.useState
,useEffect
의 의존성 배열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불필요한 Hook 실행 방지.React.memo
,useCallback
,useMemo
Hook을 활용하여 불필요한 컴포넌트 리렌더링 방지 및 값/함수 캐싱.- 애니메이션에는 네이티브 드라이버(
useNativeDriver: true
)를 사용하여 JS 스레드 부하 줄이기. - React Native Debugger나 Flipp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성능 프로파일링 및 병목 구간 식별.
- 큰 계산은 네이티브 모듈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안 고려 (필요시).
라. 에러 핸들링 및 디버깅: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디버깅하는 능력은 중요합니다. React Native는 JavaScript 에러, 네이티브 에러 등 다양한 종류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JavaScript 에러는 RedBox (개발 모드에서 화면에 빨간색 박스로 표시되는 에러)를 통해 쉽게 확인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 네이티브 크래시나 에러는 Xcode (iOS) 또는 Android Studio (Android)의 로그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console.log
는 여전히 유용한 디버깅 도구이지만, React Native Debugger나 Flipper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요청, AsyncStorage 데이터, 상태 변화 등을 훨씬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실제 앱 배포 시에는 Sentry나 Firebase Crashlytics와 같은 크래시 리포팅 도구를 통합하여 사용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마. 플랫폼별 코드 작성:
대부분의 경우 단일 코드베이스로 iOS와 Android 모두를 지원할 수 있지만, 특정 플랫폼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능(예: 특정 센서, 네이티브 UI 요소)이나 플랫폼별로 다르게 구현해야 하는 로직이 있을 수 있습니다. React Native는 이를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제공합니다.
Platform
모듈:Platform.OS === 'ios'
또는Platform.select({})
를 사용하여 운영체제에 따라 다른 값이나 컴포넌트를 선택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 파일 확장자:
.ios.js
또는.android.js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생성하면, React Native가 해당 플랫폼에서만 해당 파일을 로드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MyComponent.js
,MyComponent.ios.js
,MyComponent.android.js
가 있다면, iOS에서는MyComponent.ios.js
를 로드합니다.) - 네이티브 모듈/UI 컴포넌트: JavaScript로 구현하기 어렵거나 플랫폼 네이티브 기능에 직접 접근해야 하는 경우, Swift/Objective-C (iOS) 또는 Kotlin/Java (Android)로 네이티브 모듈이나 UI 컴포넌트를 직접 작성하고 JavaScript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브릿지 연결이 필요합니다. (이는 React Native CLI 환경에서 주로 수행됩니다.)
이러한 실무적인 고려사항들은 React Native 개발의 복잡성을 더하지만, 동시에 네이티브 앱에 가까운 완성도를 갖춘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요소들입니다. 핵심 개념을 탄탄히 다진 후에는 이러한 실무 지식들을 쌓아나가며 개발 역량을 확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act Native 개발 여정의 다음 단계
지금까지 React Native 개발의 핵심을 이루는 5가지 요소들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React Native의 기본 원리부터 시작하여, UI를 선언적으로 구축하는 JSX와 컴포넌트, 앱의 동적인 상태를 관리하는 useState
와 useEffect
, 그리고 실제 화면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기본 컴포넌트들(View
, Text
, Image
, ScrollView
, FlatList
)까지, 각 요소가 어떻게 작동하고 실무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React Native는 웹 개발자들이 익숙한 JavaScript와 React 패러다임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두 개의 플랫폼을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다는 압도적인 장점 덕분에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React Native를 선택하고 있으며, 그 생태계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 다룬 내용들은 React Native 개발을 시작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토대입니다. 이 핵심 개념들을 확실히 이해했다면, 이제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통해 여러분의 React Native 개발 역량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기본 컴포넌트 및 API 탐색: 이 글에서 다룬 컴포넌트 외에도
TextInput
,Button
,TouchableOpacity
,Modal
,Animated
등 유용한 기본 컴포넌트들이 많습니다. 또한 Geolocation, Camera, Permissions 등 디바이스 네이티브 기능에 접근하는 API들을 익히세요. - 내비게이션 마스터: React Navigation 라이브러리를 깊이 있게 학습하고 다양한 내비게이션 패턴을 구현해보세요. 앱의 사용자 경험에 내비게이션 구조는 매우 중요합니다.
- 상태 관리 심화: 앱의 규모가 커지면
useState
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Context API, Redux, MobX, Zustand 등 다양한 전역 상태 관리 솔루션을 학습하고 프로젝트에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을 익히세요. - 비동기 처리 및 API 연동 경험 쌓기: 실제 서버 API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고 표시하며, 로딩 상태 및 에러 처리 로직을 구현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세요.
-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활용 및 평가: React Native 생태계에는 방대한 양의 서드파티 라이브러리가 존재합니다 (UI 라이브러리, 네이티브 기능 접근 라이브러리 등).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찾고, 그 안정성과 유지보수 상태를 평가하여 프로젝트에 도입하는 역량을 기르세요.
- 성능 최적화 기법 체득: 실제 앱 개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될 성능 문제에 대비하여, 앞서 언급한 최적화 기법들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연습을 하세요.
React Native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아키텍처(Fabric, TurboModules)가 도입되어 브릿지 의존성을 줄이고 네이티브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변화들을 꾸준히 주시하고 새로운 기술을 학습하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React Native 핵심 5가지 완전 정복은 React Native 개발 여정의 시작점일 뿐입니다. 하지만 이 기반이 튼튼하다면, 앞으로 마주하게 될 어떤 복잡한 요구사항이나 새로운 기술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작은 사이드 프로젝트부터 시작하여 꾸준히 코드를 작성하고 다양한 시도를 해보면서 실력을 쌓아나가시길 바랍니다. React Native는 분명 여러분의 모바일 개발 목표 달성에 강력한 날개가 되어 줄 것입니다.
'[개발] React Nat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Native 폼 개발 핵심 심층 분석 (9) | 2025.07.04 |
---|---|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완벽 가이드 (2) | 2025.07.04 |
모바일 UI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는 실전 가이드 (1) | 2025.07.04 |
React Native 개발 환경 5분 완성 가이드 (1) | 2025.07.04 |
React Native 완벽 가이드: 7가지 핵심 차이점과 선택 이유 (0) | 2025.07.04 |